안녕하세요,
오늘은 은하수 촬영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려보고자 합니다.
우선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저는 전문적으로 은하수를 촬영하는 사람도 아니고, 그저 별이 좋아 시작하여 취미로 은하수 및 밤하늘을 촬영하는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을 수도 있으니, 이 부분 이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은하수와 별 촬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4가지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1. 촬영 도구
당연하겠지만, 촬영을 하려면, 촬영도구가 필요하겠죠?
이 경우, 핸드폰도 좋고, 카메라도 좋습니다.
다만, 확실한 것은 카메라로 촬영한 은하수가, 핸드폰의 은하수보다 퀄리티가 좋습니다.
이 사진은 제가 처음 카메라로 촬영한 은하수 입니다.
카메라는 캐논의 EOS 650D이며, 렌즈도 18-45 번들렌즈입니다.
객관적으로 현재 기준에서는 좋지 않은 장비임이 틀림 없습니다.
이 사진은 같은 날 아이폰12pro로 촬영한 은하수 입니다.
카메라가 더 좋다 라고 말하는 이유는, 디테일의 차이, 노이즈의 차이, 그리고 보정 가능 유무의 차이입니다.
결론적으로 장단점은 다음과 같은 것 같습니다.
- 카메라 : 디테일이 좋다. 부피가 크다. 보정이 가능하다.
- 핸드폰 : 디테일이 좋지 않다. 촬영이 간편하다. 보정이 가능하지만, 사진이 많이 뭉개진다.
2. 삼각대
기본적으로 은하수 촬영은 장노출 입니다.
따라서 흔들리지 않도록 튼튼한 삼각대가 필요합니다.
3. 광해가 적은 곳
'광해' 란 쉽게 빛공해 입니다.
별은 어두울 때 보이고, 따라서 밝은 빛이 있는 도심은 힘들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두운 곳(가까운 천문대, 강원도 산골 등)으로 가셔야 합니다.
아래의 링크는 광해를 확인할 수 있는 '광해지도' 입니다.
https://www.lightpollutionmap.info/#google_vignette
Light pollution map
Do not show this message at start
www.lightpollutionmap.info
현재 대한민국은 대부분 어두운 곳이 없지만, 그나마 비교적 어두운 강원도 쪽으로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날씨
여기서의 날씨는 당연스럽게도 구름은 없어야 하는 날씨이기도 합니다.
다만 추가적으로, 밤에 뜨는 '달' 또한 별에게는 광해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달이 뜨지 않으며, 구름이 없는 날을 기다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 여기까지가 준비물입니다.
결론적으로, 구름이 없고, 달이 뜨지 않는 날/시간에 촬영장비를 챙겨 광해가 적은 곳으로 이동한 후, 삼각대를 세워 촬영하시면 됩니다.
정말 간단하죠? 라고 하기에는 사실 달이 언제 뜨는지도 모르겠고, 어디로 가야하는지도 모르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 'stellarium'이라는 어플을 설치하시면, 오늘 달이 뜨는지, 어느 별이 어디에 보이는지 GPS를 통해 알려주며, 또한 핸드폰을 하늘로 올리면 해당 방향의 별이 어느 별인지도 알려줍니다.
해당 사진의 맨 아래 '어두운 밤'의 경우 달이 없는 시간입니다.
참고하시면 되며, 추가적으로 정보가 필요하시면 stellarium을 검색하시면 많은 정보가 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당 어플을 사용하여, 은하수가 있는 방향으로 촬영을 하시면 충분히 좋은 사진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D
자 이제 제일 중요한 <촬영방법>
우선 스마트폰(아이폰) 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갤럭시는 아래의 카메라 세팅을 따라하시면 됩니다.
아이폰의 경우,
1. 기본 카메라 어플 왼쪽 상단의 '야간모드' 버튼을 활성화 시켜준 뒤, 하단 옵션의 야간모드 설정을 최대로 설정합니다.
2. 이 후, 삼각대를 사용하여 세워두시면 최대 10초였던 것이 30초로 바뀝니다.
단, 여기서 삼각대를 세워두신다고 해도, 터치를 하시면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타이머'도 설정 후 촬영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3. 최신 기종의 경우 'RAW파일' 형식으로 촬영이 가능하오니, 해당 기능도 있으시다면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4. 해당 RAW파일을 보정하시면 됩니다!
카메라(갤럭시) 의 경우에는 좀 복잡(?)할 수 있습니다.
우선 렌즈별 셔터스피드 시간을 간단히 설명드리면,
초광각(10mm-18mm) : 최대 13초
광각(20mm - 32mm) : 최대 8초
표준(34mm~50mm) : 최대 5초
그 이상은 ..잘 모르겠네요.. 85mm기준 3.2초까지 주기는 합니다..
셔터스피드는 위의 시간,(단 갤럭시는 촬영 해보시면서 설정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조리개는 최대 개방(F값이 낮을수록 밝게 찍힘)
이 후, ISO를 올려 잘 나오게 처리(ISO는 높을수록 밝지만, 노이즈가 생겨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단, 카메라의 경우, 초점모드를 수동(MF)로 설정하신 후, 별이 제일 작아질 때 까지 초점을 맞춰주신 후 촬영하셔야 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별보케와 같이 사진이 찍혀버립니다.(별보케를 의도하셨다면 초점을 덜 맞춘 상태로 촬영하시면 됩니다.)
은하수의 경우, 위 방법을 똑같이 적용하시면서, 카메라의 방향만 은하수 방향으로 바꿔주면 된답니당
위와 같이 설정 후 촬영하면 아래와 같은 사진이 나옵니다!
이런식으로 은하수를 향하여 카메라/핸드폰을 삼각대에 세워둔 후, 촬영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제가 '아이폰'으로 촬영한 은하수/별 사진입니다.
그리고 아래는 카메라로 촬영한 은하수 및 별사진 입니다.
이상으로 긴 글 봐주셔서 감사드리며, 추가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인스타그램 'bro__9yu' 로 DM 주시면 알려드리겠습니다 :D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