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티베로7 테스트 환경 구성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제 환경은 VM 환경으로 구성했으며, 티베로 버전은 아래와 같습니다!
운영체제 | 티베로 버전 |
Linux_CentOs7.9 | Tibero7 |
우선 설치 전 사전에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1. 티베로 파일
2. Java
3. 라이선스
1. 티베로 파일의 경우, 티베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https://technet.tmaxsoft.com/ko/front/main/main.do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데이터베이스 > tibero7을 선택하신 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2. 티베로 설치를 위해서는 자바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CentOS 기준으로 명령어는
[root@localhost ~]# yum -y install java-1.8.0-openjdk-devel.x86_64
을 통하여 오픈jdk 1.8을 설치하였습니다.
3. 라이선스 발급을 위해서는 회원가입 후, 직접 데모 라이선스를 발급 받으셔야 합니다.
이미 라이선스가 있으시다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준비가 끝났다면 티베로 설치파일과 라이선스 파일을 sftp/scp를 통하여 해당 환경으로 옮겨주시면 됩니다.
이 후, 설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계정 생성 및 디렉토리 확인
. 우선 티베로를 사용할 계정이 필요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tbr' 이라는 계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계정 생성
[root@localhost ~]# useradd tbr
# 계정 비밀번호 설정
[root@localhost ~]# passwd tbr
이 후, 저같은 경우에는 CentOS환경을 구성하며 티베로를 설치 할 디렉토리인 /tbr 디렉토리를 미리 생성했었습니다.
다른 경로에 설치할 경우, 해당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계정 소유자 확인
[root@localhost ~]# ls -al / (해당 디렉토리가 있는 경로)
drwxr-xr-x. 4 root root 62 11월 2 15:54 tbr
다음과 같이 해당 디렉토리가 root 혹은 다른 계정으로 되어있다면, 아래 명령어로 권한을 수정해줍니다.
[root@localhost ~]# chown -R tbr:tbr /tbr (chown -R 계정명:그룹명 해당 디렉토리)
이 후, 다시 권한을 확인하게 되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localhost ~]# ls -al / (해당 디렉토리가 있는 경로)
drwxr-xr-x. 4 tbr tbr 62 11월 2 15:54 tbr
2. 설치
여기까지 완료가 되었다면 다운로드 받은 티베로 설치파일을 해당 디렉토리로 옮겨줍니다.
# 계정 변경
[root@localhost ~]# su - tbr
[tbr@localhost ~]# mv tibero7-bin-FS02-linux64_3.10-254994.tar /tbr
이 후, 압축을 풀어주면 됩니다
[tbr@localhost ~]# cd /tbr
[tbr@localhost tbr]# tar -zxvf tibero7-bin-FS02-linux64_3.10-254994.tar
압축 해제가 완료 되었다면, 다운로드 받은 라이선스 파일을 압축 푼 디렉토리의 lincense 디렉토리로 옮겨줍니다.
[tbr@localhost tbr]# mv ~/license.xml /tbr/tibero7/license.xml
이 후, 티베로 계정의 [중요]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합니다.
[tbr@localhost tbr]# vi ~/.bash_profile
export TB_HOME=/tbr/tibero7 # 티베로 압축을 푼 디렉토리
export TB_SID=my_tibero7 # SID를 지정
export LD_LIBRARY_PATH=$TB_HOME/lib:$TB_HOME/client/lib:$LD_LIBRARY_PATH
# 위의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별도의 설정 X
export PATH=$TB_HOME/bin:$TB_HOME/client/bin:$PATH
# 위의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별도의 설정 X
bash_profile 파일의 아래에 해당 내용을 추가해주면 됩니다.
이 후, 아래의 명령어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tbr@localhost tbr]# source ~/.bash_profile
추가적으로 커널 파라미터값을 수정해야 합니다. (사용 환경에 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해당 내용은 root 계정으로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root@localhost ~]# vi /ect/sysctl.conf
fs.file-max = 6815744
kernel.shmmax = 2147483648
kernel.shmall = 536870912
kernel.sem = 250 128000 32 512
net.ipv4.ip_local_port_range = 32768 65000
net.core.rmem_default=262144
net.core.rmem_max=4194304
net.core.wmem_default=262144
net.core.wmem_max=1048576
해당 파일에 위의 내용을 추가한 후, 적용합니다.
[root@localhost ~]# sysctl -p
티베로는 사실상 설치가 끝난 것이며, 이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tbr@localhost tbr]# cd $TB_HOME/config
[tbr@localhost config]# ./gen_tip.sh
[tbr@localhost config]# ls
위 작업을 하시게 되면, SID.tip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티베로를 부팅하고, 접속하신 후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신 후 재가동하시면 됩니다.
아래에서의 sys/tibero는 기본 시스템 계정/비밀번호 입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생성시 파라미터는 더 추가하셔도 무관합니다!
[tbr@localhost tbr]# tbboot nomount
[tbr@localhost tbr]# tbsql sys/tibero
SQL>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user sys identified by tibero
character set UTF8
national character set UTF8;
[tbr@localhost tbr]# tbboot
완료 되었다면, 아래의 스크립트 파일을 통하여 role, system user, view, package 등을 생성합니다.
[tbr@localhost tbr]# cd $TB_HOME/scripts
[tbr@localhost tbr]# ./system.sh
이 때 입력이 필요한 항목들이 있습니다.
sys 계정 비밀번호는 tibero
SYSCAT 계정 비밀번호는 SYSCAT 입니다.
중간 중간 Y/N 값을 입력을 요구하는데, 해당 내용(임시 테이블/스키마 생성 여부 등등)을 필요에 따라 Y/N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가 티베로 설치, 개인 환경 구성 포스트였습니다
부족한 점 많지만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D